죽전택지개발지구-초기2,700만원~3,400만원대로 대부분
1층 상가 위주로 분양이 이루어졌으나 입주가 시작된 현재는 APT 가수요가 많았던 지역으로 입주율은 그다지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분양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업체들이 많다 보니 근래에 분양 하는 상가들의 1층 분양가는 2,300만원~2,700만원대로 형성되어있다.
그럼에도, 전체적인 분양률은 미비하다.
두정택지개발지구-2001년11월
준공된 두정 북부택지개발지구는 임차인을 구하지 못한채 미분양으로 남아있는 상가가 속출하여 일부는 법원경매 진행 중에 있는 곳도 나오고 있다.
전자제품 전문판매상가로 분양된 두정동 D월드의 경우 임차인을 구하지 못해 일부 상가는 법원경매가 진행 중이며 아파트 단지에 둘러싸인 G쇼핑 역시
상가 대부분이 비어있다. 분양가는 일부 건물들을 제외하여 초기 대비 200만원~300만원 정도 하락한 상태.
평내택지개발지구-아파트
입주가 서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다 보니 분양문의 증가가 조금씩 늘어나고는 있지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2,600만원~3,200만원대의
분양가로 초기 각 상가별로 일부 점포들의 분양이 이루어졌었으나 현재 전매거래는 뜸하고 2,400만원~2,600만원대로 형성된 상태. 각 업체별로
10~20%정도 저렴하게 공급을 하고 있다. 호평쪽에 대한 기대심리가 더 높은 편으로 분양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지역.
삼산택지개발지구-지하철 연장노선의 발표로 인근 APT가격도 기대심리로 인해 덩달아 상승을 하였으나 상가의 분양률까지는 이어지고
있지는 않았던 상태. 그러나, 8월부터 택지개발지구내 신규 공급된 APT의 입주가 다른 지역과는 달리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어 주변인들의
상가투자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APT단지 쪽에 위치한 상가들은 대부분 2,600만원~2,800만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 점포는
3,200만원대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기도 한다. 지하철 연장노선이 들어설 예정인 중동대로 쪽의 상가는 아직은 저렴하게 공급이 이뤄지고 있는
편이다. 2,300~2,600만원 선이다. 초기분양가 대비 하락은 없는 편이다.
금촌택지개발지구-수도권 북부권에 위치하여 금년
11월부터 APT입주가 시작되는 지역으로 투자문의 자체가 다소 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1층 상가의 경우 초기에는
2,600만원~3,500만원으로 분양을 했으나 2,200만원~2,800만원으로 분양 중에 있다.
분석-대부분 택지개발지구내
근린상가들의 분양률 변수는 상업용지 주변에 들어서는 APT단지의 분양에 이은 실제 입주가 얼마나 순조로이 잘 이루어지느냐로 분양률의 속도를
가늠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라 시행업체들이 손실금을 줄이려 일정기간동안 분양가를 인하하여 분양을 하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건물이 공정에 맞춰 지어지고 주변 APT들에 대한 입주가 가수요가 아닌 실수요자 위주로 원할하게 이뤄진다 하면 택지개발지구내 근린상가들은
분양률이 빠르고 높게 진행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대체적으로 경기동향과 계절적 요인,휴가철로 인한 투자문의자 감소로 인한 분양업체의 어려움은 가을
시즌을 맞이하여 다소 나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도심권 주상복합 현황
서울대입구역 주변, 종로, 충정로,
가양대교사거리, 강남역, 서초동 남부터미널 주변 등에 주상복합건물들의 분양이 이뤄지고 있지만 상가분양에 대한 특별한 가격
인하조치 등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지역 특성을 감안한 상층부에 형성되는 주거용 또는 사무용의 적절한 평형대 공급으로 대부분 분양을 성공적으로
마침에 따라 자금조달 부분의 어려움을 해소시킨 상태로 자금의 압박이 덜한 이유도 있겠다. 또한, 수도권 신규 택지개발지구와는 달리 분양 공급되는
현장들 주변으로 이미 건물들로 둘러싸여 있고 오랜 기간동안 형성된 상권 내에 들어서는 거라 초기부터 분양진행률에 대한 적절한 기간산정으로 인해
서두르지 않는 걸로 보여진다.
상가 114 투자 전략 연구소
소장 유 영 상
'보돌이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수도 이전 위헌결정과 상가 시장 (0) | 2006.07.28 |
---|---|
2004년 후반기(4/4분기) 상가 시장전망 (0) | 2006.07.28 |
시장변화에 따른 살아남기 고육책 (0) | 2006.07.28 |
부동산과 경기 침체그리고 상가시장 (0) | 2006.07.28 |
건축물 분양제도 개선방안과 상가시장전망 (0) | 2006.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