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지정으로 주목받는 거여역상권
거여마천 뉴타운지정으로 주목받는 거여역상권
잠실역 인근 방이사거리에서 오금로를 따라10분정도 달리면 오금역, 개롱역을 거쳐 거여역이 나온다.
최근 개발예정지 중에서 송파신도시가 예정되어있는 거여역 상권이 향후 송파 신도시 조성에 따른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상권으로 전망되면서 향후 상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송파신도시가 조성이 되면 지리적이 ㄴ특성상 거여역 일대로 유동인구가 집객 될 수 밖에 없는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
거여역 상권이 역세권 상권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시기는 지하철 5호선 거여역이 1995년 4월에 개통되면서부터이다. 98년 6월에 4.600세대 규모의 거여 아파트단지가 입주를 마치면서 마땅한 구심점이 없던 지역에 상권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거여역이 개통되면서 역세권 상권의 틀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지하철이 생기기 이전 거여동 상권은 송파구 내에서도 군사시설에 의한 개발제한구역이 많고, 남한산성과 맞닿아 있어 송파구의 변두리 정도로 여겨졌으나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차츰 유동인구가 증가하고 상가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거여역상권은 거여역을 중심으로 사거리 일대 대로변 위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심지 타 상권들이 대로변과 이면도로 상권이 함께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면 거여역상권은 지하철역 출구주면, 대로위주의 상권이 발달되어 있고, 상권의 규모와 범위는 그리 크지 않다.
일반적인 역세권상권이 대로변에 금융기관이나 판매시설, 이면도로에 먹거리와 유흥시설 위주로 이루어져 있다면 거여역 상권은 대로변에 금융시설부터 유흥 시설이 함께 분포되어 있을만큼 규모가 작다.
이는 거여동 일대의 소비층 및 배후세대가 한정되어 있고, 남한산성 및 외곽순환도로 등으로 고립되어 있어서 외부에서의 유입이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권의 주요 소비층인 업무시설이나 대형 할인점, 백화점 등 유통시설도 없는 상태이며, 젊은 소비층을 끌어모을 수 있는 집객시설이 없다는 것이 상권성장의 장애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른바 비보험진료 환자수요는 인근의 같은 5호선이 연결되는 천호역 상권과 잠실 상권으로 유출되고 있는 상태이다.
거여역 인근 배후세대
거여역상권의 직접적인 진료권 내에는 거여동과 마천동이 포함되어 있다. 그 이외의 지역은 남한산성과 외곽순환도로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유입에 대한 기대는 작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거여동 지역의 경우 아파트가 거여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공동주택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거여마천뉴타운으로 지정되어 있는 마천동의 경우 단독주택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현재 이지역에는 총 3만 4천세대, 9만3천여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거여역을 중심으로 5천5백여세대의 아파트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0세부터 15세까지의 인구비율이 서울평균치를 웃도는 상황이며, 이에 따라 30대인구비율도 높은편이다.
따라서 현재상황에서 거여역 상권은 소아인구 및 3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진료과목이 유망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발전가능성이 무한한 거여역상권
현재 송파신도시와 거여마천뉴타운으로 대한 기대치가 높다. 이는 향후 거여역상권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현재 거여동인근지역은 군부대에 의한 면적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근주민들이 이용할 만한 대형 부대시설들이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지역주민들의 외부유출이 큰 상황이다.
그러나 송파신도시가 세워지고 뉴타운이 완성되면 배후세대가 두터워지면서 외부로 유출되는 소비층이 감소할 것이고, 그에 따라서 지역내 상권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이다.
서승한 develop76@naver.com
ⓒ 데일리메디(http://www.dailymedi.com)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상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명 철산역..도심 곳곳에 재건축 물결 (0) | 2006.11.15 |
---|---|
광명 철산역..현장르포/2만6천가구 아파트 단지 기반 (0) | 2006.11.15 |
[2006 전국 상권 분석]경기도 안양 상권 (0) | 2006.11.13 |
아베크 상권이 온다…스마일 명동 (0) | 2006.11.10 |
신도시 황금상권‘유통전쟁’ (0) | 2006.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