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시장 확 바뀐다
서울시는 침체된 동대문 시장을 살리기 위해 월드디자인 플라자를 건설, 지원키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월드디자인 플라자는 동대문 패션 클러스터의 핵심시설로 내년 3월 초 착공해 오는 2010년 3월 완공한다.
사업비는 3753억원, 연면적 7만4732㎡에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지어진다.
시에 따르면 이곳을 ‘세계 일류 패션도시 서울’로 탈바꿈시킨다는 전략 아래 세계 최고 수준의 패션 문화지역으로 육성시키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제품 경쟁력 향상 △마케팅 지원 강화 △문화·편의공간 확충 △상인 내부역량 강화 등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월드디자인플라자에 동대문 패션클러스터의 핵심시설을 마련키로 했다. 디자이너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리서치·컨설팅, 정보 등을 제공하고 디자인 수요도 창출하기로 했다.
시는 이 건물이 완공될 경우 연간 3473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함께 3066억원의 고용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동대문을 찾는 하루 유동인구 역시 현재보다 25% 증가한 70만명에 이르고 외국 관광객은 연간 33% 증가한 289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는 이와 함께 인접한 동숭동 대학로와 연결해 청소년들이 즐길 수 있는 편의시설을 넓혀 수요 창출을 유도하기로 했다.
또 중구 신당동에는 첨단의류기술센터를 2009년 12월까지 건설해 생산기반을 고도화하기로 했다.
이 센터에는 첨단기술을 보유한 업체가 우선 입주할 수 있으며 이곳에서 마케팅과 기술지원, 정보제공 등 특히 봉제산업 지원이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시가 월드디자인플라자 건설에 나서기로 한 것은 지난 2000년 초까지만 해도 패션 도매시장 기능으로 연간 19억달러에 달하는 수출을 달성하는 등 상권이 활성화됐지만 중국 의류시장의 급성장과 대형 할인마트·홈쇼핑 등 국내 유통의 다각화로 상권 침체가 심화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서울시가 지난 9월 동대문 일대 상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94%가 점포 매출이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88%가 외국 바이어 판매액이 줄어들고 있다는 답했다. 또 응답자의 15%는 수출을 중단했으며 그 이유는 ‘주문이 없어서’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파이낸셜뉴스]
'뉴스&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도시 사업비 15조원 넘어 (0) | 2007.10.25 |
---|---|
국세청 "30만달러 이하 해외부동산 통보 협의중" (0) | 2007.10.25 |
노른자 약국상권 임대료, 3년간 23% 뛰어 (0) | 2007.10.22 |
상가 임대료 상승률 명동ㆍ종로가 으뜸 (0) | 2007.10.22 |
상가 세입자 "나 떨고 있니" (0) | 2007.10.16 |